* 참고 문헌 , 에서 상당 부분 발췌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형식주의적 스크럼 개발실 전체적로 보면 여러 사람들의 노력으로 스크럼이나 애자일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공유되어 있었지만 기획팀 내부에서는 형식이나 일부 프로세스를 차용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예를 들어 아침마다 일일 스크럼을 진행하는데 이 일일 스크럼은 매일 지정된 시간에 팀원전체가 참여하여 아래와 같이 딱 세 가지를 보고해야한다. 1) 지난 일일 스크럼 이후 무엇을 완료하였는가?2) 다음 회의 때까지 무엇을 마무리할 계획인가?3) 일하는 데 어떠한 방해나 장애요인들이 있는가? 이 일일 스크럼은 관리자에게 상황을 보고하는 회의가 아니다. 이 회의를 통해 팀원들은 팀이 어떤 상황이며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서로 알게 하고 서로 도움이 되는 시..
책을 보고 기억에 남는 두 가지 단어 통찰과 충실도에 대한 포스팅 입니다. 통찰 (洞察, insight) "통찰이란 직관에 의해 갑자기 찾아온다. 직관이란 앞서 습득한 지적 경험의 결과다." - 아인슈타인 사실 책의 구성은 일반적인 자기계발 서적처럼 되어 있습니다. 1.이렇게 한다. 2.복습. 이런 패턴의 책을 가장 싫어 하지만 책을 읽는 중 몇 가지 기억에 남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 중 가장 기억에 남았던 통찰(insight)은 어디에서 오는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요즘 회의에서 가장 많이 듣는 영어 단어 중 하나인 인싸이트, 통찰이 어디에서 부터 오는가에 대한 정리였습니다. 평범한 정보라도 예상치 못한 논리적 통찰을 낳을 수 있다. 하지만 정보와 통찰은 다르다는 인식이 중요하다. 축적해 놓은 정보를..
상명대 소프트웨어대학 선후배 모임에서 지난 11월 15일 이야기 했었던 PT 자료 입니다. 이런 외부에서 이야기 하는 자리가 처음이라 좀 긴장하고 갔었는데 다행히 게임 분야라 그런지 흥미있게 들어주더군요. 본인에게 스스로 기념으로 블로그에 강연 자료 업데이트 합니다. -_-; SlideShare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동훈 이 # 혹시 본문에 나오는 사람이 난가?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응 그래 너 맞어...
- Total
- Today
- Yesterday
- 게임
- 2008년
- second life
- Macbook pro
- 게임기획자
- 게임회사
- STORY
- MMORPG
- Façade
- PSP
- 구글
- 5집
- Wii
- M-06
- 책리뷰
- interactive storytelling
- 언니네이발관
- Level Design
- 정발
- GDC
- 플레이모빌
- GDC2007
- 책
- POSTMORTEM
- MMOG
- Game Design
- 마비노기 영웅전
- 아내
- 문국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