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사용자부터 매니아까지: 게이머의 몰입도를 조사하기 위한 통계학적인 방법From Casual to Core: A Statistical Mechanism for Studying Gamer Dedication 평범한 사용자부터 매니아까지: 게이머의 몰입도를 조사하기 위한 통계학적인 방법 By Barry Ip and Ernest Adams Gamasutra June 5, 2002 URL: http://www.gamasutra.com/features/20020605/ip_01.htm 상호작용 엔터테인먼트가 인기가 많아지고, 대중적인 문화로 자리잡게 되면서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은 더 이상 괴짜들이거나 극단적인 취미를 가진 사람이 아니게 되었다. 만약 게임 업계가 게임의 매력을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인식시키..
이 글은 KGDA anilien 님이 작성하신 글입니다. 상당히 좋은 글이라 생각되어 일단 블로그로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허락을 받지 않았기 ??문에 문제가 된다면 삭제 하겠습니다. ★★★★★★★★★★★★★★★★★★★★★★★★★★★★★★★★★★★★★★★★ 개요 게임 기획자는 게임계에서도 특히나 독특한 성격의 사람들이 군집해있기로 유명한 분야이다. 그런데다가 우리나라의 게임 기획 업무는 명확하게 제시된 프로세서가 존재하는 것도 아니며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도 전무하다고 할 형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획자들은 망망대해 속에 홀로 몸을 던진 후 수많은 시행착오라는 태풍을 몸으로 이겨내며 스스로 항해술을 터득해 간다. 그래서인지 기획자의 기획 업무 스타일도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자신들의 젊음과 열..
이 글은 KGDA barammj(홍명진) 님이 작성하신 글입니다. 상당히 좋은 글이라 생각되어 일단 블로그로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허락을 받지 않았기 ??문에 문제가 된다면 삭제 하겠습니다. ★★★★★★★★★★★★★★★★★★★★★★★★★★★★★★★★★★★★★★★★ 아마추어 게임 제작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게임을 개발해보고자 했던 분들은 적어도 한 번쯤 아마추어 게임 개발 활동을 해보았거나 해보려고 마음 먹었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후자에 해당하는 게임 개발에 거의 경험이 없는 분들을 대상으로 아마추어 게임 개발이란 무엇인지 알려드리려 합니다. 다만, 필자가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참여하지 못해 게임 개발의 정론을 밝힐 수 없다는 점이 못내 아쉽군요. 그렇지만 2년여의 아마추어 프로젝트 경험 동안 어떤 ..
이 글은 KGDA e1003 님이 작성하신 글입니다. 상당히 좋은 글이라 생각되어 일단 블로그로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허락을 받지 않았기 ??문에 문제가 된다면 삭제 하겠습니다. ★★★★★★★★★★★★★★★★★★★★★★★★★★★★★★★★★★★★★★★★ 온라인 게임 밸런스의 중요성 오랫만에 강좌 올립니다. 밑에 정리도 못한 강좌가 눈에 밟히지만...^^ 언제나, 누구나,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온리안 게임 밸런스, 밸런싱에 대해 생각나는 점이 있어서 게시판에 올립니다. 오래전에 술자리에서 경제학과 석사과정 중인 게임회사 마케터에게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물약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을 때, 이것이 리니지 세계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논문을 써보는 것이 가능하겠는지에 대해 농담한 적이 있..
이 글은 KGDA e1003(김기덕) 님이 작성하신 글입니다. 상당히 좋은 글이라 생각되어 일단 블로그로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허락을 받지 않았기 ??문에 문제가 된다면 삭제 하겠습니다. ★★★★★★★★★★★★★★★★★★★★★★★★★★★★★★★★★★★★★★★★ 본 강좌는 게임산업의 기획분야에서 일하게 될 한 사람의 직업인이 기획자로 성장하는 과정에 노정되어 있는 다양한 요소를 중심으로, 이 분야에서 자신의 적성에 맞는 올바른 발전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준비하고 스스로를 경영하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Game Designer Positioning 김기덕 시작이 반이다. 낙천적인 사람들은 일단 시작만 하면 반쯤 성과를 거둔 것이다라는 낭만적인 설명을 합니다만, 기획분야의 경험자들에게는 어떠한 ..
바람직한 PD 시스템에 대한 토론회 KGC2004 GMPD 토론회 일시 : 2004년 10월 14일(목) ~ 10월 15일(금) 토론회 주제 - 게임 개발 스튜디오 형태의 구조 - PD의 업무 역할과 문제점 - GM의 업무 구조 참석자 - 토론회 주최자 / 유현수 (게임엔 펀드CEO , GMPD 시삽 , 개발원 자문의원) - 토론회 진행자 / 박성준 (컴투스 PD , GMPD 부시삽 , GPM 시삽) - 초청 개발자 / JENNY RYU (EA 본사 개발 PD) 코나미와 남코회사를 거쳐, 현재 EA Lead artist 로 반지제왕[왕의귀한]을 마치고 [대부] 게임제작을 진행중. 센프란시스코에 위치한 AAC 대학원 출강. Maya 3D 케릭터 모델링과 애니메이션 저자) - 참석 개발자 / 장인경 (마리 ..
스토리보드 작성_2 | 스토리보드 2004/07/08 11:42 http://blog.naver.com/ice002/100003901374멀티미디어 컨텐츠 기획, 이영아 공저, 영진출판사 제4장.제5절 멀티미디어 컨텐츠 기획 (pp.188~197) 3. 스토리보드 만들기 가.스토리보드란? 스토리보드는 멀티미助?타이틀 개발의 설계도이며 구체적인 작업 지침서이다. 즉 멀티미디어 설계 단계의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에 맞도록 종이 위에 구성화한 형태이다. 즉, 애니메이션과 비디오가 음악과 결합하여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개발 기획서가 멀티미디어 타이틀 개발의 청사진이라면 플로우 차트는 타이틀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것이고, 스토리보드는 멀티미디어 타이틀 개발..
- Total
- Today
- Yesterday
- 2008년
- PSP
- 게임
- 문국현
- Game Design
- M-06
- 5집
- GDC
- Wii
- 언니네이발관
- 게임기획자
- GDC2007
- 책리뷰
- POSTMORTEM
- 플레이모빌
- MMORPG
- Façade
- 아내
- MMOG
- interactive storytelling
- 마비노기 영웅전
- 정발
- Level Design
- STORY
- 구글
- 책
- Macbook pro
- 게임회사
- second lif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