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Lost Along The Way: Design Pitfalls on the Road from Concept to Completion
길을 잃어버리다 : 개념에서 완성까지 길에서의 디자인 함정
The game industry has grown up in recent years -- right alongside many of us who have grown up with it. Once upon a time, the leaders in our field were people who worked in garages for next to nothing and made games because they wanted to build something that entertained them. We were the market, and phrases like "publicly traded" had very little meaning to games, except perhaps when referring to baseball cards. (Even huge cultural phenomena like Pokemon and Magic: The Gathering were unheard of ten years ago.)
This young industry has given birth to a new breed of career professionals -- pioneers who have spent the entirety of their working lives making videogames (or, more broadly, electronic entertainment products). The electronic entertainment industry has risen to compete directly with movies for the public's leisure dollars. Large and highly successful corporations spend and earn billions of dollars each year to make it in the gaming world, and every success comes down to the people who create the games.
게임산업은 최근 몇 년 동안 성장했다. -- 우리 중 많은 이들은 그 성장과 함깨 자라왔다. 과거, 이쪽 바닥의 리더들은 아무것도 없는 차고 같은 곳에서 그들 자신이 흥미 있어하는 무언가를 위해 게임을 만든 사람들 이었다. 그때는 야구카드를 제외하고는 우리 자신이 시장이 되는 '트레이딩 게임' 이라는 것은 게임의 계념이 아니었다. (지금은 거대한 문화적인 현상인 '포켓몬'과 '매직 더 게더링'이 10 년 전에는 없었다.)
이 젊은 산업은 경력 전문가의 새로운 품종 -- 비디오게임을 (또는 더 넓은 의미로 전자적 유흥(electronic entertainment) 의 개발물) 만드는 생활에 그의 평생을 바친 개척자들을 탄생 시켰다.
그 전자의 유흥 산업은 그 지지자의 여가 달러를 위해 영화와 직접적으로 경쟁하기 위해 대두되었다.
세계 게임 시장 에서 크고 매우 성공적인 기업은 수십억 달러를 매년 쓰고 또한 번다. 그리고 그 모든 성공은 게임을 창조하는 개발자, 그들에게서 비롯된 것이다.
The bottom line: making games is a job, and a very serious one. The games that you and I are building today aren't merely games any more: they're product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words is more than mere semantics: it's a matter of responsibility.
결론을 말하자면, 게임을 만든다는 직업은 매우 진지한 일이다. 오늘날 당신과 내가 만들고 있는 게임은 더이상 단순한 '게임'이 아니다. 그것들은 곧 제품이다. 두 단어 사이의 구별은 단순한 의미 이상이다: 그것은 책임의 문제이다.
Starting Down the Road
여정의 시작!
We've all had our ideas for the next great game. That is, after all, why we're working in this industry. At one time, simply taking a great idea for a game and figuring out a way to make it happen was enough. Back then, audiences were far smaller. Selling a million copies of a game wasn't important, and the only people that game builders had to answer to were the people who shared the task of creating the game. The corporate environment in which we now work is no longer quite so flexible. Each product must answer to a number of sectors in order to achieve the financial success that is the goal of any company.
우리 자신들은 모두 다음에 만들 좋은 게임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말하자면 그것이 우리가 이 산업에 종사하는 이유인 것이다. 한때는 단순히 게임을 만드는데 그것의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그것의 모양새만 갖추는 것 만으로도 충분했다. 과거의 게임을 즐기는 지지자는 적었기 때문이다. (현재의) 게임개발 책임자는 게임 10만 카피를 파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같이 게임개발을 하는 다른 사람들을 책임지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지금 일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은 아주 그렇게 유연하지만은 않다. 각각의 제품은 회사가 목표한 경제적인 성공을 획득하기 위해서 가치창조를 해야 한다.
As designers, it is our responsibility to shepherd a game's vision from initial conceptualization to finished product and to maintain that vision's integrity. The overall concept and all of its components must all fit within the constraints of the marketplace, and designers are the first line of defense against straying from the path that is laid out for a product. Designers must be aware at all times of the many responsibilities that a product has -to the company, to the marketplace, and to the player.
디자이너 로서, 완성될 제품에 대한 '처음의 계념화' 부터서 완성까지 '게임의 비전'을 이끌고 그 비전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은 우리들의 책임이다. 그 전체적인 개념과 그것의 구성 요소 전부는 모두 그 시장에 어떠한 제한 조건 안에 맞아야만 하고. 디자이너는 제품이 나오기까지의 공정 중에서 그 목표를 잃는 것을 막아야할 방어의 첫 번째 라인이다. 디자이너는 제품이 가지고 있는 많은 책임 -- 회사에 대한, 시장에 대한, 그리고 플레이어에 대한. --을 언제나 알고 있어야만 한다.
The first role of the designer in this process is to build, maintain, and communicate the game's design document. Every game design should have two major documents. The core design document is set out at the beginning and provides the framework for the entire development process. While it is not, by necessity, absolute law, the game design document should clearly communicate all of the essentials of a project's development. Anyone should be able to look at this text and understand what the product is, who it is aimed at, when it will appear, and how it will satisfy all of the responsibilities that the team have as game developers.
게임 디자이너의 첫 번째 역할은 게임 디자인서를 만들고, 유지하고,뜻을 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게임 디자인은 두 개의 중요한 문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 두가지 중 '코어 디자인 문서'는 시작점과 그 전체의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기본 틀을 제공한다. 게임 설계 문서는 절대적으로 프로젝트 개발의 본질적 요소 전부 명확히 전달해야 할 필요는 없다. 누구든지 글을 볼 수 있어야 하고 그 제품이 무엇인지, 그것이 어떤 층을 겨냥했는지, 언제쯤 나올 수 있는지, 그리고 그 팀에 소속된 게임 개발자로서 가지는 자신의 '책임' 전부를 그만큼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으면 된다.
The second document is a living document -- the design bible -- and is responsible not only for breaking down the overall design into systems and subsystems, but also for documenting the process that the team goes through while actually creating the game. (This is a subject worthy of some analysis, but I won't go into it in this article.)
두 번째 문서는 '실(개발)디자인서' -- 디자인의 성경이라고도 부를수 있는 -- 이고, 시스템과 서브시스템으로 그 전체적인 설계를 나누는 것 뿐만 아니라,그 팀이 통과하는 실제의 게임제작 공정을 문서화 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이 주제는 분석하기에 가치가 있지만, 본문 에서는 다루지 않을 것임)
The creation of the core design document is the point in product development where the majority of the design responsibilities must be addressed, and it will pay in the long run to consider what might get lost without proper design.
디자인 파트에 큰 책임이 따르는 상품개발에서는 코어디자인 문서를 만드는것이 중요하다. 그것은 프로젝트가 적절한 디자인을 잃고 미궁에 빠질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장기적으로 보아 언젠가 코어디자인문서를 만든 것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Losing the Audience: Building the Wrong Game
지지자를 잃다: 잘못된 게임의 제작
As a concept evolves into the initial design document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design process, the first step in creating a product out of an idea is to identify an audience for the game that you will build. While it is sometimes tempting to create your own dream game, almost invariably you are not the audience that you're designing for - or at least not the only audience. Like it or not, the pure "gamer" that many of us have always been is just a fraction of the market now. Building a game just for gamers, or even worse, just for ourselves, isn't going to work for our companies or for our paychecks.
In the initial stages of the game's development, you will lay out the basics: the product's genre, setting, mood, and subject matter, but you will also define the target platform, age group, rating, and perhaps even gender. The second set of factors can be as important as the first when you are making the initial design decisions for your game.
디자인 과정의 시작되는 순간에 컨셉이 첫 번째의 디자인 문서로 전개되면서, 당신이 만들어낼 게임의 지지자들을 정의하는 것에서 부터 게임을 만들어 나가야한다. 당신이 꿈꾸는 매혹적인 게임을 만들어야할 때도 있지만, 거의 변함없이 당신은 당신이 디자인 하는 것의 지지자에서 제외된다 - 적어도 당신은 단순한 지지자가 아니다. 좋던 싫던, 우리들 중 일부인 순수한 "게이머"는 시장의 아주 일부분이다. 게이머들만을 위한 게임, 우리들만을 위한 게임은 우리들의 회사나 우리의 월급 명세표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역주: 여기서 게이머는 '하드코어 게이머' 를 지칭하는듯함)
초기의 게임 개발 단계에서, 기본적인 것들을 디자인할 것이다: 상품의 장르, 설정, 분위기와 구성 요소, 그러나 반드시 목표로 하는 개발 플랫폼, 대상 연령, 등급 평가, 심지어는 대상 성별까지 정의해야한다. 당신이 게임의 초기 디자인 결정을 할 때, 두번째 요소들(개발 플랫폼, 대상 연령, 등급평가, 대상 성별)은 첫번째 요소들(장르, 설정, 분위기와 구성요소)만큼이나 중요할 수도 있다.
The game's target platform will make many decisions for you, and will be the most important to the programmers on the team as they determine how they will develop the engine and tools. When evaluating platforms, you must look at both the experience of your team and the set of tools, art, and library code that may already be available. Starting from scratch on a new platform will certainly extend timelines significantly, and that increases the burden of anticipating the game's audience and its competition. The closer your project's ship date is to its initial design, the better prepared you will be to assess and capture its market. It's also important to remember that timelines will be stretched more for a new platform than for an existing one: the tools that you will be using to build and test a game and the libraries that the engineers use to interact with the system may themselves be undergoing revision while you work for newly-released (or unreleased) platforms. Multiple-platform development presents a number of difficulties, as well. All of these make your target market less clear, and that means that your design itself will be less focused.
게임의 목표로 하는 개발 플랫폼은 당신에게 많은 결정을 내려줄 것이다, 그리고 팀의 프로그래머에게 앤진과 툴의 개발에 관한 결정에 중요하다. 플랫폼을 선정할 때는 팀의 경험과 게임개발 툴, 아트, 그리고 이미 사용가능할지도 모르는 라이브러리 코드의 집합을 살펴보아야한다. 새로운 플랫폼에서 개발을 시작한다면 분명 상당한 기간의 연장이 있을 것이고, 게임의 지지도와 경쟁력을 예상하는 데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당신의 초기 디자인이 완성된 날과 게임의 발매일이 가까울 수록 당신이 원하는 시장에서의 평가와 점유율에 좋다. 새로운 플랫폼은 기간을 연장시킨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새로운 플랫폼(또는 미발매된 플랫폼)을 위한 게임을 만드는 동안 사용하는 게임을 만들기 위한 툴, 프로그래머가 시스템을 다룰 수 있게 하는 라이브러리가 바뀔 수도 있다. 멀티-플랫폼 개발은 그만큼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것들은 목표 시장을 불투명하게 만들고, 그 것은 당신의 디자인의 촛점을 흐리게 한다.
Not only does the target platform significantly affect the limitations of your game design and the timelines for its development, but i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ype of game that you should consider making and the age group and the rating that you aim for with the product. Nintendo's audience, for instance, is typically younger than Sony's. New platforms will be adopted first by an older age group than will eventually constitute their overall market segment. If you think that these trends aren't important, you can look at the disappointing results for games like Conker's Bad Fur Day (Nintendo looking for an older market on the N64) and Portal Runner (3DO releasing a title aimed at younger audiences on the PS2 - a platform that still didn't have many young players) despite a number of good reviews for both games.
목표 개발 플렛폼만이 당신의 게임 디자인과 개발 기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당신이 만드려고 하는 게임의 형태, 대상 연령, 제품에 부여되길 바라는 등급 역시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닌텐도의 지지자들을 예로들면, 대체적으로 소니의 지지자들보다 어리다. 결국 새로운 플랫폼은 일반적인 시장 부류 중에서 닌텐도의 경우보다 더 높은 연령층에게 먼저 선택될 것이다. 이런 경향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면, 좋은 리뷰를 받았음에도 실패한 'Conker's Bad Fur Day' (닌텐도가 높은 연령층의 N64시장을 개척하려 했던 게임)과 'Portal Runner' (3DO가 어린 계층을 노리고 PS2에서 출시한 타이틀 - PS2는 당시까지 어린 플레이어가 없었다.)를 살펴보라.
Where platforms are concerned, it's also not a bad idea to look at interface. Console players expect simplicity in their interfaces, while PC players are more accepting of more advanced controls. This is one of the reasons that keyboards never seem to establish a foothold as peripherals for console systems.
플랫폼이 결정되었다면, 이제 인터페이스를 살펴보아도 나쁘지 않다. 콘솔 플레이어들은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원하고 PC 플레이어들은 좀 더 복잡하고 진보된 인터페이스를 받아들인다. 이 것이 바로 키보드가 콘솔 게임의 발판 같은 주변기기처럼 쓰일 수 없는 이유이다.
Jane's AH-64D Longbow, a PC flight simulator that I worked on several years ago, had enough controls to fill an entire keyboard. Did that damage the game? Not at all. The game's design took into account the platform and target market, knowing that PC flight simulator fans expect accuracy and aren't afraid of a lot of controls. While Longbow made an excellent PC game, taking such a complicated game directly to the console market wouldn't have worked out as well. That's not to say that a different version couldn't have succeeded (and there was talk of this), but the sheer complexity of a game like a flight simulator creates difficult design choices when approaching consoles and their controls.
필자가 몇년 전 작업했던 Jane's AH-64D Longbow란 PC 플라이트 시뮬레이션은 전체 키보드를 사용해야 할 만큼 복잡한 조작을 가지고 있었다. 그 것이 게임에 악영향을 미쳤는가? 전혀 아니다. 타깃 으로 한 PC 플라이트 시뮬레이션 팬들은, 다양한 조작을 두려워 하지 않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게임의 디자인은 정확히 들어맞았다. 'Longbow' 가 아무리 훌륭한 PC 게임이라고 하여도, 그런 복잡한 게임을 아무런 변경없이 콘솔로 이식하는 작업은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다. 그것은 다른 버전이 성공하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아니지만, 매우 복잡한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같은 게임들은 콘솔에서의 개발과 콘트롤에 있어서 매우 어려운 디자인적 선택을 만든다.
|
|
|
| ||
| Jane's AH-64D Longbow had enough controls to fill an entire keyboard. Jane's AH-64D Longbow는 키보드 전체를 사용해야 할 만큼 조작이 다양했다. |
This is exactly the problem that was faced by the teams who ported Wing Commander to consoles: too many controls for simple control systems. To address this, two different approaches were taken by the development teams for the 3DO version of the game and the Playstation version. Wing 3 3DO went for simplicity, cutting features and systems to the bare minimums necessary to play the game and still get essentially the same experience. The team knew that we had a very limited number of buttons to work with, and we decided that we could sacrifice some of the PC's extras (such as power configuration, takeoffs and landings), to keep the controls as simple as possible. As far as 3DO products went, Wing 3 was well received, and garnered some excellent reviews. The Playstation team took a different approach, attempting to stay as close to an exact replica of the PC game as they could build. This approach meant a lot more controls. Granted, they had a few more buttons to work with, but they had to exercise a lot of creativity to push all of that functionality into one little controller. The results pretty much matched the effort: people felt that their game was more true to the original product, but it was considered much more difficult to play. If you are attempting to appeal to the larger audiences that products demand in today's market, you're not going to find nearly enough Wing Commander players to sell to, and that many controls may be intimidating to a large portion of the audience.
이것은 콘솔로 'Wing Commander' 를 이식한 팀에 의해 직면된 중요한 문제점이었다. : 간단한 조작 시스템(비디오 게임기의 페드) 에서 행해져야 할 복잡한 조작, 이것에 대한 두가지 다른 접근 방법은 그 게임의 '3DO' 버전과 'Playstation' 버전에 각각 취해졌다. '윙커멘더3'의 '3DO' 버전은 간단함을 원했다, 그래서 게임을 플레이 하기에 본질적으로 필요한 최소의 기능들만 사용하고, 다른 쓸모 없는 것들은 과감히 삭제했다. 그 팀은 우리가 개발하기에 매우 한정된 버튼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리고 우리는 가능하한 단순한 조작을 유지하기 위해서 몇몇 PC버전의 특수한 부분들(파워 컨피규레이션, 이륙과 착륙) 을 희생할 것을 결정했다. 3DO가 원하는 대로 , '윙커멘더3' 는 성공적인 이식이 되었다. 그리고 우수한 리뷰를 받기도 했다. 'Playstation' 팀은 다른 접근 방법을 취했다: 그들은 만들 수 있는 한 가장 정밀하게 원작 PC버전과 동일한 이식을 하기로 했다. 이 접근 방법은 훨씬 더 복잡한 조작을 의미했다. 플레이어들이 게임을 하는데 조금 더 많은 버튼을 사용할수 있었다. 하지만 플레이어들은 작은 컨트롤러로 모든 조작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창조적인 조작 방법을 연습해야만 했다.그렇게 한 연습의 결과는 노력에 상응했다.: 사람들은 그들의 게임이 더욱 오리지널에 가까운 제품이라는 것을 느꼈다. 하지만 그만큼 더욱더 플레이 하기 어려운 것으로 간주 되어졌다. 당신이 제품이 오늘의 시장에서 더 지지자적인 게임이 되게 하려면 이점에 주의 해야한다 : 당신의 게임을 살수 있는 충분한 많은 'Wing Commander' 의 플레이어를 가짐에도 불과하고, 복잡한 조작으로 그들을 위협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는것을.
Flight simulators and Wing Commander games bring up another important point: niche markets. If you are designing a game for a niche market - strategy games or military flight sims, for instance - then you are already reducing the size of your potential market. The initial question that you must answer as a designer, then, is how you can push your product away from the fringes of the market and back towards the center. The simpler the concept and the broader its appeal, the more you can stretch the market and the game's success.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과 'Wing Commander' 는 다른 중요한 점 : 틈새 시장을 대두 시킵니다 당신이 틈새 시장 을 노린 게임을 설계한다면 -- 예를 들어 전략게임 또는 밀리터리 플라잇 시뮬레이션, 당신은 이미 잠재한 시장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있는 것 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디자이너로서 이 기본적인 질문에 대답해야만 한다. 그것은 '어떻게 당신의 제품을 시장의 변방에서 중심으로 밀어넣을 것이냐'는 것이다. 더 간단한 개념과 그것의 폭넓은 어필은 더 많다. 당신은 시장과 그 게임의 성공의 관계를 조율할 수 있다.
Your choice of platform obviously plays a big role in your initial design. As I've mentioned, it can also affect the target ESRB rating for your game, and these ratings have become a big consideration for big business - including for Sony and Nintendo when they are evaluating your submissions. While you may be able to slide a bit in either direction as you develop the game, establishing the product's target rating will define your audience much more clearly. While n 'E' (suitable for every age) rating may mean that your product is truly intended for every age, it still may mark your product as a "kids' game" for some consumers. (The notable exceptions to this are sports games, which don't generally contain any objectionable content and can readily earn an 'E' on the box.) On the other hand, you'll have a much harder time selling a game to younger players when there's a 'T' (teen audiences) or an 'M' (mature audiences) on the box. The rating on your box will also affect who will carry your game, as some stores won't carry games for mature audiences, and that's exactly the wrong direction to go when you're talking about expanding your audience. Setting your rating goals early can prevent some serious headaches later. Game features with long development times, such as FMV, are going to be awfully hard to replace if you suddenly decide to change your rating at the end of the development process, so err on the side of caution when designing features that may impact ratings. Of course, your game concept will most likely limit your possible ratings in the first place. (It would be difficult to make a good horror game with an 'E' rating, for instance, and making a game with popular cartoon characters doesn't seem sensible with any of the higher ratings in mind.) Whatever your goal, it's never best to limit your product or market too much with the initial ratings decision. Aim for the middle, and you'll have a lot more options for a bigger audience.
당신의 플랫폼의 선택은 초기 디자인 에서 분명히 큰 역할을 한다. 언급하자면, 그것이 당신 게임의 목표 ESRB 등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 등급은 대기업의 큰 고려사항이 되었다 -- Sony와 Nintendo를 포함하여 그들이 당신의 제출을 평가할 수 있다. 당신의 게임에 개발방향을 약간 물러나 바꾼 동안에 당신이 목표 대상을 설정하는 것은 좀더 뚜렸하게 당신의 지지자를 정의 내릴 수 있을 것이다. "e" (suitable for every age) 등급이 당신의 제품이 진실로 모든 나이를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듯, 그것은 여전히 소수의 사용자를 위한 '아이들 게임'으로 기록될 수도 있다. (이것의 주목할 만한 예외는 운동 게임이다.특별히 반대할 내용이 없는 이상 E 등급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 이다.) 또 한 편으로는, 당신은 당신의 게임 상자에 'T' (teen audiences)이나 'M' (mature audiences) 등급을 받는다면 아마도 어린 플레이어들에게는 팔리기 힘들 것이다. 당신의 제품 상자에 있는 등급은 또한 당신의 게임을 판매할 사람들 에게 영향을 미칠 것 이다. 몇몇의 매장은 좀더 나이 많은 지지자를 위한 게임을 들여놓지 않을 을 것이고 그것은 분명히 당신의 지지자를 확장하는 것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향일 것이다. 당신이 등급 목표를 일찍 세우는 것은 심각한 몇몇의 고민거리를 늦기 전에 막을 수 있다. 만약 개발 과정 막바지에 이미 정해진 등급을 갑자기 바꾼다면, FMV와 같은 긴 개발 기간을 소요한 게임 기능(feature)을 바꾼다는 것은 굉장히 난감할 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들을 디자인 할때는 주의하는 게 좋다. 물론 아마도 당신의 게임 컨셉은 당신이 가능한 처음의 등급에 맞추어 질 것이다. (예를 들면, "e" 등급으로 좋은 호러 게임을 만드는 것은 어렵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인기 있는 만화 캐릭터를 이용해서 게임을 만들 때 이보다 더 높은 등급을 가지고 만든다는 것은 분별 있게 보이지 않는다.) 그 처음의 등급 결정으로 당신이 목표한 그 제품이나 시장을 너무 많이 한정하는 것은 가장 좋지 않다. 분명히 말하자면,당신은 더 큰 지지자에 대한 훨씬 더 많은 선택 항목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Expanding the audience can take another direction, as well: selling to more markets, rather than to a broader U.S. market. International sales can introduce further demands on your design. Germany - a big market that is still growing - has some stringent guidelines on blood and violence. Asian markets will mean that your game must support non-standard character sets for localized text. If you're going to distribute in multiple countries, pay attention to the expectations of those markets when you're laying the groundwork.
또한, 당신의 게임을 하는 지지자를 늘리는 방향은 다르게 잡을 수 있다.: 더 많은 시장으로의 판매, 국제적인 판매는 당신의 설계에 대한 그 이상의 요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독일 -- 여전히 성장하고 있는 큰 시장 --는 피와 폭력에 엄격한 몇몇의 지침서를 가지고 있다. 아시아 시장은 당신의 게임이 국한된 텍스트에 대해 비 표준형의 문자 세트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당신이 다양한 국가를 대상 층으로 한다면, 당신이 개발의 기초작업을 할 때부터 그 시장에 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게임과 그것에 대한 기능의 설계는 위의 예와 같은 대상 지지자의 지침서에 따라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sign of a game and its features should be evaluated against the guidelines of your audience before anything else. Since design is responsible for these decisions much of the time, you should be aware of your audience throughout the development process.
게임의 디자인과 그 기능들은 그 어느 것보다 먼저 당신의 지지자들의 지침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디자인이 이런 결정 들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 한, 당신은 개발 프로세스의 처음부터 끝까지 지지자들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Losing the Franchise: Failing the Fans
프랜차이즈를 잃다: 펜들에게로의 실패
Some games have to consider a special kind of audience in their design. Games that extend existing franchises and licensed products both attempt to capture a market that already has some expectations for the product. Because of those preconceived ideas, these types of games will undergo much more scrutiny at both ends of the development cycle. When creating a game design for an existing franchise, you as a designer will have a lot more people to answer to with your design.
몇몇의 게임은 그의 설계에서 특별한 종류의 지지자를 고려해야 한다. 어떤 게임의 후속작인 게임과 특정한 라이센스를 취득한 제품(스타워즈 같은..)은 그 제품 자체에 관한 시장과 미리 확보된 메니아층을 동시에 잡으려고 한다. 그런 예상들 때문에, 이런 유형의 게임은 그 개발 주기의 끝에 더 많은 세밀한 검증을 많이 겪을 것이다.예의 특권을 가진 게임을 디자인할 경우 당신은 당신의 디자인에 대한 더 많은 사람들의 평가를 받을 것 이다.
The first responsibility to a franchise or licensed product is knowing your product. This means research. If you're working from a novel or series of novels, then you should read them. Pay attention to characters and settings, take some notes, and share your findings with the rest of the team. The more you know about the world that you're building a new representation for, the more your game will be able to reach the target audience. The same goes for movies, television shows, and even other, non-computer games.
첫번째로 책임져야 할 일은 프랜차이즈 또는 라이센스 제품에 대한 지식을 갖는 일이다. 이 것은 연구를 의미한다. 당신이 소설이나 장편 소설의 게임 작업을 하고 있다면, 그것을 읽어야만 한다. 캐릭터와 설정들에 주의를 기울이며, 몇 가지를 필기하고, 당신의 팀과 당신이 찾아낸 것을 공유해야한다. 새로운 표현으로 건설해야하는 세계에 대해 좀 더 많이 알게 된다면, 게임은 그 만큼 목표로하는 지지자들에게 가깝게 다가가게 될 것이다. 이 것은 영화, 텔레비젼 쇼, 심지어 컴퓨터 게임이 아닌 게임에도 적용된다.
For an existing line of games, you should be familiar with the new product's predecessors - especially the most recent ones. Know which ones were most successful and which failed, and look at the reasons why they failed. If those reasons were in the design, rather than in execution, then they are within your power to fix. If you know your franchise or license well, then you will be better able to present a design that fits its audience, and that means getting the green light to move forward with development.
현존하는 형식의 게임들을 위해, 새로운 제품 이전의 제품들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가져야만 한다 - 최근의 것들에는 더더욱. 어떤 것이 성공하고 실패하였는지 그리고 왜 그들이 실패하였는 지를 알아야한다. 그 이유들이 제작 과정 보다 디자인 때문이라면 당신의 힘으로 고쳐낼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의 프랜차이즈 또는 라이센스를 잘 알고 있다면, 지지자들에게 잘 맞는 디자인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은 개발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뜻이다.
Once you move forward, you face the second responsibility of designing for an existing universe: being responsive to the people in charge of the franchise. When dealing with an established world, you're going to have to know who is responsible for that world, how much involvement they'll want in your initial design, and how often they'll want to look at what you have. Establish these answers early on, and make sure that you keep the right people apprised of any significant changes that come along during the development cycle. The people providing this additional layer of oversight for your product could pull the plug after a lot of time and expense. Don't bet your future on your ability to read their minds.
한 발 앞으로 나가서, 이미 존재하는 세계를 위한 디자인적 책임에 직면한다: 프랜차이즈에 관여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책임. 이미 정립된 세계를 다루는 동안, 누가 그 세계에 관한 책임이 있는 지 알아야한다, 당신의 초기 디자인에 얼마나 언관되고 싶어 하고 결과물을 얼마나 자주 보고 싶어하는 지를 알아야한다. 이런 문제를 빨리 해결하고, 권한을 가진 사람들에게 개발 주기 동안 일어난 일들을 알려줘야한다. 당신의 제품을 감독하는 사람들은 많은 시간과 지출이 있은 후에도 제품 개발을 중단시킬 수 있다. 당신의 미래를 그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는 데에 걸지 말아라.
In some cases, you'll find that it's not how well you stay within an existing universe, but how well you expand it. When designing a game based upon an existing franchise, be aware that you will sometimes need to jump ship, and find out how much leeway you have to do that. While you will probably have to answer to your company, to your publisher, or to the owners of a franchise (or to all of these), you should be able to present a design that stretches the boundaries of a product line where necessary. If you flood the market with look-alike titles from a franchise, the audience may not be loyal enough to keep paying your bills. Keep your pride in check when evaluating thi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s not reviews, but sales. You may hear a few of the loudest oices grumbling about your persistence with a line, but if the products continue to succeed, then you must be doing something right. It's good to note here that steady sales over a long period mean only that you are maintaining your audience, even though you're actually losing your percentage of the total market as it continues to grow. If your costs continue to grow over this same period, then your franchise is a losing proposition.
몇몇의 경우에, 이미 존재하는 세계가 잘 맞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될지 모른다, 그러나 또한 당신은 그것을 확장할 수 있다. 디자인에서, 게임은 현존하는 프렌차지즈 위에서 기초를 둔다. 그러나 때때로 당신은 그 배위에서 뛰어내려야 할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그리고 당신은 그것을 하는데 얼마나 많은 저항을 받을 지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아마 당신이 당신의 회사에 무언가를 보여주어야 할 동안, 당신의 출판자에게, 또는 특권 (혹은 이 모두에게)의 소유자에게, 당신은 어디에서 생산 라인의 경계를 뻗는 필요한 설계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당신이 그 프랜차이즈로부터 비슷하게 보이는 타이틀이 시장에 쏟아질 정도로 많다면, 지지자들은 계속 당신에게 돈을 지불하는 것에대해 성실하지않을 것이다. 이것을 평가할 때 당신은 자만을 하지 말아야한다: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검토이지 판매가 아니다. 당신의 그 제품이 계속해서 성공함에도 그 라인에 대한 당신의 고집에 대해 계속해서 불만을 가지는 사람들이 있다면, 당신은 옳은 방향을 선택해야만 할 것 이다. 당신의 추종자들의 수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는 커지는 시장의 규모를 따라갈 수 없고, 결국에는 전체적인 시장의 점유율이 떨어지고 말 것이라는 것을 알아두어야 할 것이다. 당신이 들이는 비용이 같은 기간에 대하여 계속해서 커진다면, 당신의 프랜차이즈는 지는 계획이다.
Losing the Market: Hits that Miss
시장을 잃다: 목표에서 빗나가다.
You'll notice that the words "audience" and "market" appear almost interchangeably in the first sections of this article. While they're not exactly the same, it's fair to assume that building a larger audience is equivalent to establishing a larger market. Grabbing your share of the market and continuing to add to it are as important to the business of games as establishing an audience is to their design.
당신은 주목해야할것이다. 지지자와 시장이라는 단어가 이 기사의 첫번째 면에 나온다는 것을 주목하라. 모든 이들이 똑같지 않다면, 큰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 더 많은 추종자들을 확보하는 것이 올바를 것 이다. 시장의 점유율을 움켜쥐고 그 것을 키워나는 것들은 게임 비지니스에 있어서 지지자를 확보하는 것 만큼 중요하다.
While it's true that finding and capturing the market is primarily the realm of sales and marketing people, it's not only their job. The most important step in for these groups in reaching the market is reaching the people who will be selling the product. Whether they're selling on a web site or to Wal-mart, they'll need to generate some excitement in advance to pave the way for your product. To do this, they're going to need to turn to you. You must be prepared to show off the game you're making so your potential audience knows that it's out there. Developers often grumble that demos and screen capture utilities and the like disrupt timelines and destroy their schedules, this only happens if they haven't planned for them in advance. When you are designing your product, remember that you're going to need to show it off. Pay attention to sections of the game that will showcase everything you have to offer, and be prepared to offer them up as spokesmodels for the product when the time comes. Keep your maps and original work around in case they're needed to enhance a document or ad. If you're asked for a list of bullet points, take it seriously. Just because everyone does it, that doesn't mean it's less important. You're trying to get the product noticed, so take the chance to brag about your design when the opportunity arises.
시장을 찾고 개척해나가는 것은 주로 영업과 마케팅 사원의 임무이지만, 이 것이 그들만의 일은 아니다. 이 그룹이 시장에 접근하는 것의 가장 중요한 단계는 그것이 판매되어 사람들에게 접근 되어지는 것이다. 그것들이 웹 사이트에서 또는, Wal-mart 에서 팔리고 있든 간에, 그들을 흥분시키기 위해서 당신의 제품에 뭔가 포장을 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하기 위해, 그들은 당신에게 (영업과 마캐팅으 일에 대한) 차례를 줄 필요가 있다. 네가 만든 게임의 존재를 너의 잠재 고객들에게 알리기 위해 그것의 겉모양을 치장해야 할 준비를 해야만 한다. 그들이 미리 그것을 위해 계획을 짜지 않는다면 개발자들은 그 데모와 스크린 켑쳐 유틸리티에 대해 자주 불평을 하고 , 일정은 붕괴되고, 스캐쥴은 망가져버린다. 당신이 당신의 게임을 디자인하고 있을 때, 당신이 그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당신이 당신의 게임에 기본 골격 모델을 보여주어야 할 때가 되었을 때 당신이 보여주어야 할 모든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그들이 광고나 기사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면 당신의 맵과 독창적인 작업물들을 여기저기에 보여주어라. 당신이 이런 리스트들에 해당하는 것이 있다면, 심각하게 받아들여야한다. 바로 모든 사람이 그것을 하고 있기에, 그것이 더 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다. 당신이 디자인을 호기롭게 보여줄 기회를 얻어서 그것을 자랑한다면 필시 당신의 제품에 대한 고통스러운 결과를 가지고 올 것 이다.
Of course, there's one other important part of satisfying the market. Everyone says it; you've been told a million times. Hit your schedule. Be responsible to your team when estimating times for tasks, and then be responsible to yourself when completing them. It's so obvious that it shouldn't be in this article, but it's one of the most difficult things that we do in our industry. And when you get there, make sure that you've allowed yourself enough time to give the audience a clean product. While you may be able to sneak a less-than-perfect product out into the marketplace, it might make the audience think twice the next time around.
물론, 시장을 만족시키는 다른 중요한 부분이 있다.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말한다; 당신은 백만번째로 이 말을 듣고 있는 것이다. 스캐쥴을 지켜라. 업무에 필요한 시간을 추정할 때 팀에대해 책임을 가져야하고, 그 것이 끝나면 당신 자신에게 책임을 느껴라. 이 것은 이 글에서 언급할 필요도 없이 명백하지만, 우리 분야에서 가장 어려운 일 중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그 것을 해결한다면, 지지자들에게 깨끗한 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충분한 시간을 보장받게 된다. 불완전한 상품을 시장에 몰래 흘려넣을 수 있겠지만 지지자들은 다음 제품을 구입하는 것에 대해 심각히 고민하게 될 것이다.
Losing the Sale: Negative First Impressions
판매 성적이 떨어진다: 부정적인 첫 인상
We've looked at the big picture: the audience and the marketplace. But all of that comes down to a whole bunch of individuals - both retailers and actual players - who will purchase your product. Many buyers will make their decisions based on just a short experience with the game - whether playing a demo, renting the product, seeing it at a friend's house, or reading a review (which is often based on a very short play session, as well). Some won't even get that far. The designer's biggest job in creating a viable design is to decide how the game will connect with the people out there, convincing them to buy this product instead of someone else's.
우리는 큰 그림을 보았다: 지지자와 시장. 그러나 그 전부는 업계의 당신의 제품을 구입하는 모든 가지로 내려온다 - 소매점과 실제 플레이어들. 많은 구매자들이 그 게임에 대한 짧은 경험에 기반하여 판단을 내릴 것이다 - 데모를 플레이하고, 제품을 대여하기도 하고, 친구의 집에서 볼 수도 있고, 리뷰 기사를 읽을 수도 있다 (이 조차도 매우 짧은 플레이를 통해 작성된 경우가 많다). 어떤 이들은 멀리 보지 않는다. 디자이너의 가장 큰 일은 사람들과 게임이 어떻게 연결될 것이며, 다른 제품 대신 이 제품을 사도록 확신을 주어야 하는 것이다.
The quickest way to lose a buyer's interest is through the game's look and feel. Particularly in times of transition from one generation of console to the next, the games that look the best will be the most obvious choices for purchasers. If a buyer has a powerful machine at his or her disposal, then he'll want a product that takes advantage of the machine's capabilities so he can show it off. When the only information that a buyer has to go on is a few screen shots on a box or a short demo in the store, it will be fairly obvious what games look great and which ones are duds. The more products that are out there competing for that purchase, the more readily a product with substandard visuals and effects will be discarded for a flashier choice.
구매자가 게임에 대한 흥미를 잃는 가장 빠른 방법은 게임의 모양세를 통한 것이다. 특히, 콘솔이 차세대로 변환하는 시점에서 가장 좋게 보이는 게임은 구매자에게 가장 명확한 선택이다. 만약 구매자가 강력한 머신을 가지고 있다면, 제품이 머신의 능력에 걸맞는 강점을 보여주는 것을 원할 것이다. 구매자가 가진 정보가 박스에 새겨진 몇 안되는 스크린 샷이거나 가게에서 보여주는 짧은 데모일 경우, 그것은 제품을 훌륭한 게임이거나 또는 쓰레기로 판단하는 명확한 근거가 될 수도 있다. 판매경쟁을 벌이는 더 많은 제품들 중, 표준 이하의 비주얼과 효과를 가지고 있다면 순간적인 선택에서 제외된다.
The PC market and aging consoles are less likely to be influenced solely by visuals. The PC is less influenced by graphics because there's no universal set of specs for PC's, and the very high-end machine constitutes a small portion of the marketplace at any given time. In fact, pushing the graphical capabilities of a machine may lose more customers than it will gain in a mass market. Even the most awe-inspiring visuals are going to look pretty weak if a player has to turn everything off just to run the game. In this case, the box has more than just pictures to help a user make his decision: it also has machine specifications that can make or break the purchase.
PC 시장과 구형 콘솔 시장은 비주얼만으로는 영향을 받지않는 경향이 있다. PC의 사양에 대한 보편적인 기준이 없고 고사양의 머신은 언제나 시장의 작은 부분이기 때문에, PC 시장은 그래픽의 영향을 덜 받는다. 실제로, 머신의 그래픽 성능을 밀어준다면 거대한 시장의 더 많은 고객을 잃어버린다. 심지어 플레이어가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모든 옵션을 꺼야한다면, 그 훌륭한 그래픽은 매우 약하게 보일 것이다. 이 경우, 박스는 유저가 결정을 내리기 위해 그림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진다: 구매를 결정하게 하거나 포기하게 하는 컴퓨터의 사양.
In the case of aging consoles, the buyer is going to be far less concerned with getting the best looking product for home consumption. The so-called "early adopters" have already leapt ahead to a new console (or are looking forward to it, at the very least), and the remainder of the install base is going to be much pickier about how the game plays than how it looks. I'll talk about this more in the last section.
구형 콘솔의 경우에, 소비자는 별 근심없이 집에서 사용할수 있는 좋은 개발물을 가질수 있다. 소위 "얼리아답터"들은 이미 세로운 콘솔에 뛰어들었다. (또는 최소한 그 것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나머지 사람들의 게임의 설치기준은 그 게임을 어떻게 하는지 보다는 눈에 보이는것(비주얼)이 어떤지에 더 까다롭다. 나는 이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이것에 대해 좀더 예기할것 이다. ※얼리아답터(Early Adopter) : 상품을 조기에 수용하고 확산시키는 소비자
With the issue of visuals still in mind, there are two primary ways to make a shopper into a buyer. The first, of course, is to make a game that pushes the limit with graphics and effects. This may be through splashy special effects, ultra-realistic characters, beautiful scenery, or any combination of these. While this decision is not solely the province of design, it is essential that your design documentation clearly communicate the team's goals for a product's visuals.
여전히 염두해두고 있는 '비주얼'이라는 논점으로, 잠정고객을 우리의 물건을 사게 하는 두 주요한 방법이 있다. 첫째는, 당연히 , 그 한계를 극한의 그래픽과 이팩트로 게임을 장식하는 것이다. 이것은 특별한 화려한 효과, 극단적으로 특별한 문자, 아름다운 풍경, 또는 이것들 중 어떤 결합을 통해서 이루어질 지도 모른다. 이 결정이 게임 디자인 영역의 단독이 아닌 , 당신의 디자인 문서화가 제품의 비주얼을 위해 그 팀의 목표를 명확히 해주는것이 필수적이다.
Many of your decisions later on in development -- from the engine itself to the tools that you will use to create the game to the actual content of the game -- will come back to the artistic direction that the team has decided to take. A game that strives for beauty through complex character models will be more limited in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are displayed at any given time (Onimusha), while a game that attempts to capture more action will necessarily have to find different ways of making the characters look realistic without pushing as many polygons -- or even adopt a different style entirely for the art that won't require realistic characters at all (Grim Fandango).
많은 당신의 결정들이 나중에 개발물에 들어갈것이다. -- 엔진 그 자체부터 당신이 게임의 알맹이를 만들 툴까지 -- 팀이 채택하도록 결정한 예술적인 방향으로 아마도 되돌아 올것이다 , 아름다운 캐릭터를 위해 복잡한 모델링을 쓴 게임은 필현적으로 실시간으로 화면에 나타내어 지는 캐릭터의 숫자가 한정되어 있다. (귀무자) , 그러기에 게임에서 더 많은 캐릭터의 액션을 위해서는 많은 폴리곤 없이 다른 방법으로 리얼한 캐릭터를 만드는 것이 필연적이다. 또는 심지어 아주 다른 방식의 아트스타일을 사용해서 리얼한 폴리곤 캐릭터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하기도 한다. (그림 판당고)
Certain limitations on a project -- platform, engine requirements, tools, and timeline being excellent examples -- will require that a team de-emphasize visuals. Still, the game's design can capture that point-of-purchase sale. The alternative to having the best looking game is to have a "hook" that draws the player in before the comparisons even start. This needs to be a concept that the newcomer can grasp in a few moments of perusing your title. Of course, franchises and licenses have built-in hooks: people gravitate to a familiar character or universe (Star Wars, Pokemon, Spider Man), a familiar personality (John Madden), or even a concept that is common ground outside of the gaming world (World War II, Army Men, or sports games in general). To a lesser degree, this can come from long-running lines in the game market itself. Basically, if the buyer knows you before he meets you, so to speak, then you've got a head start on the competition.
확실한 프로젝트의 제한은 -- 플렛폼, 엔진의 요구, 툴, 그리고 우수한 견본이 나와야 할 시간 -- 지금까지의 팀이 강조하지 않았던 비주얼을 요구한다. 여전히, 게임의 디자인은 판매의 시점을 잡아낼수 있다. 게임을 가장 보기 좋게 만드는 대안은 (다른 게임과) 비교가 시작되기 전에 플레이어를 잡아 끌 수 있는 "갈고리"를 가지는 것이다. 이것은 당신의 게임을 처음 하는사람이 짧은시간안에 관심을 가지게 하고 끌어올수 가 있게하는 컨셉을 필요로 한다. 물론, 프렌차이즈와 라이센스 작품은 사람들을 끌어들일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익숙한 캐릭터나 세계관 (Star Wars, Pokemon, Spider Man), 익숙한 개성 (John Madden), 또는 게임 세계에서 흔히 쓰였던 것들에 (World War II, Army Men, 또는 일반적 스포츠 게임) 끌리게 되어있다. 더 적은 정도로 이 것은 롱런하는 게임 마켓 그 자체에서 나타난다. 기본적으로, 구매자가 당신이 그를 만나기 전에 당신을 알고 있다면, 당신은 경쟁의 선두에서 시작하게 된다.
Even with such a head start, you'll have competition, and you may not have these tools at your disposal at all. When laying out your design, make sure that you can explain it quickly and concisely to someone who knows nothing about it at all. If you can't focus your idea down to a few lines of text in your design document, then you're going to have a hard time reaching the people that you want to buy it.
당신이 디자인의 얼개를 짤때, 당신은 그것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에게 확실하고 간결하게 설명을 할수 있어야 한다. 당신이 당신의 디자인 문서에 대한 적은양의 글로 당신의 생각의 촛점에 맞출 수 없다면, 당신은 당신의 게임을 사려는 사람들에 도달하는 데 애로사항이 꽃필 것이다.
Losing the Player: Obstacles to Enjoying the Title
플레이어를 잃다: 게임을 즐기는데 장애물
So now, hopefully, you've caught the eye of the potential purchaser. (Of course, you knew something about that buyer all along, because he's part of an audience that you identified long ago.) That's a step in the right direction, but the look and the hook aren't going to bring everyone into your market, and they aren't going to keep people loyal once they're playing. Most of the buyers out there (retailers and their customers) will look a lot more carefully once they've picked up the box, and many of these will try before buying. These players are going to be concerned not only with the look of the game, but also with the feel of the game. If a game's design loses the player, then it's likely to come right back to the store - or never to leave the shelves in the first place. Losing the player happens first and foremost through the game's interface. Whatever the title, the purpose of an entertainment product in any industry is to transport the participant to a place either slightly or entirely outside of his realm of experience and to keep him there engagingly throughout the experience. Without a functional set of tools, the player is prevented from ever achieving that suspension of disbelief or - even worse, in my opinion - continually reminded of his interaction with the product, rather than immersed in the game itself.
그래서 지금 희망적이게도 당신은 그 잠재적 구매자의 시선을 주목시켰다.(물론, 당신은 그 구매자를 오래전부터 식별했었기 때문에 그를 어느정도 알고 있다.) 그것이 그 스텝의 올바른 방향이지만, 보여주고 끌어당기기(역주 : 이 전에 이야기했던 게임의 첫인상들)는 모든이를 당신의 시장으로 끌고오지는 못한다. 그리고 그들은 사람들을 당신의 게임에 충성스럽게 유지시키는 것마저 못할것 이다. 거의 모든 소비자(소매상과 단골 손님들)는 페키지를 구입하기 전에 많은 부분을 꼼꼼하게 살펴볼 것이다. 이 플레이어는 단지 게임의 외향 뿐만이니라 게임의 느낌에 대해서도 걱정을 한다. 게임의 디자인이 플레이어를 잃어버린다면, 제품은 다시 상점으로 돌아오게 되던가, 선반에서 내려지는 일조차 없을 것이다. 플레이어를 잃는 것이 처음 일어나는 것은 게임의 인터페이스이다. 어떤 타이틀이던, 모든 산업의 엔터테인먼트 제품은 그 범위가 좁던지 넓던지 플레이어에게 그의 영역 밖의 경험에 부분적 또는 전적으로 참여하게 해야하며, 그 경험이 유지되는 동안 애교 있게 그 곳에 있도록 유지해야한다. 기능적인 도구가 없다면, 플레이어는 불신을 가지게 되거나 -필자의 의견에는 더 심하게- 지속적으로 게임에 대한 집중을 잃게 된다.
The problem of interface is usually a matter of too many controls (making a game very difficult to get into) or an interface that is too intrusive (making a game very easy to leave). This is not to say that a game can't have lots of controls. As I mentioned before, Longbow, had functions for almost every key on the keyboard. Not only did the game's design take into account the target market, but it also helped the individual player to learn the game with a clear tutorial, plenty of practice missions, and clear documentation. When they could learn
'Game Design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핵심 부분 (0) | 2005.01.13 |
---|---|
[펌] MMORPG 기획서 기본 골격 (0) | 2005.01.10 |
[펌] 성공하는 프로젝트의 공통점 (0) | 2004.12.22 |
[펌] 게이머의 몰입도를 조사하기 위한 통계학적인 방법 (0) | 2004.12.22 |
[펌] 높여가는 기획과 낮춰가는 기획 (0) | 2004.12.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책리뷰
- Level Design
- POSTMORTEM
- 책
- Wii
- 문국현
- 아내
- GDC2007
- 플레이모빌
- 5집
- Macbook pro
- 구글
- PSP
- 마비노기 영웅전
- M-06
- second life
- interactive storytelling
- 정발
- 언니네이발관
- Façade
- 게임
- MMORPG
- 2008년
- 게임회사
- GDC
- 게임기획자
- STORY
- Game Design
- MMO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